계절성 우울증은 늦가을과 초겨울에 주로 발생하고
봄 과 여름에 잠깐 사라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다시 재발하는 재발성 우울증의 한 유형입니다.
성인의 약 5%가 이 SAD를 경험하며
일반적으로 1년 중 약 40%가 지속됩니다.
계절적인 흐름을 타는 계절성 우울증은
가을 또는 겨울 등 일정한 시기만 되면 우울 증상이 되풀이 되는 질환으로
특정계절에만 우울증이 심해졌다가 계절이 바뀌면 증상이 나아지는 것을 반복하게 됩니다.
또한 남성에 비해 여성의 계절성우울증 확률이 두배이상 높습니다.
가을과 겨울철뿐 아니라
정기적으로 매년 봄과 여름이면 우울증이 찾아오는
봄철우울증, 여름철우울증도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
일정한 시기만 되면 우울 증상이 되풀이 되는 질환
계절이 바뀌면 증상이 나아지기를 반복.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
겨울철 우울증의 경우 햇빛의 양과 일조시간의 부족이 에너지 부족과 활동량 저하, 슬픔, 과식, 과수면을 일으키는 생화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면 백야를 관찰할 수 있는 북유럽에는 계절성 우울증을 앓는 환자가 월등히 많다고 합니다. 북극에 가까운 북유럽의 경우 여름의 백야현상과는 반대로 겨울이 되면 해를 볼 수 있는 시간이 대략 오전10시부터 낮2시까지 3,4시간 뿐이기 때문이라는데요, 여름과 겨울의 일조량이 극단적으로 차이가 나면서 계절성 우울증 환자가 늘어나는 것입니다.
뇌의 시상하부는 외부의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활을 하는데, 계절성 우울증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적합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합니다.
SAD는 우울증의 한 형태이기 때문에
주된 증상은 유사하지만,
SAD계절성우울증 증상은
에너지부족, 과도한졸음(과다수면)
과식, 체중 증가, 탄수화물에 대한 갈망,
집중력 저하 등이 주로 나타납니다.
SAD의 경우 1년 중
특정 시기에 발생한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계절성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빛치료
가을,겨울철의 계절성 우울증은 부족한 일조량이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빛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빛 치료란 매우 밝은 형광등이나 LED등을 이용한 조명기기 앞에서 아침의 일정 시간 동안 밝은 빛을 쬐는 치료법입니다.
빛 세기가 충분하다면 직접 만든 전등 장치도 우울감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실제로 형광등 스탠드 3개를 꾸준히 쬐었더니 증상이 한결 나아졌다는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lowensteinkorea/products/5254409010
광치료기를 매일 20~30분 정도 사용하면 빛이 뇌를 자극해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 분비가 촉진되고, 밤에는 숙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가 많아집니다. 또한, 라이트 테라피로 우울감과 피로가 감소하여 에너지 증진 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CUnO/btrtB9gK1i9/i3v15SZNdka57krhUcXMfk/img.png)
♥낮시간동안 활동량과 식이요법, 운동요법
이외에 낮에 활동량을 늘려 규칙적이고 균형잡힌 영양 섭취가 필요합니다. 우울증에 햇빛쬐기가 효과가 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죠. 또한 긍정적 생각과 즐거운 마음을 가지도록 명상이나 스트레스를 푸는 활동을 늘려주세요.
'유용한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 원인과 증상, 좌편두통과 우편두통 증상차이 (10) | 2022.02.25 |
---|---|
구내염, 빠르게 치료하는 방법 5가지 (23) | 2022.02.23 |
심장질환 예방하는 식이요법, 5단계로 꾸준히 관리해요. (25) | 2022.02.09 |
코로나, 자가검사키트 사용법 (2) | 2022.02.07 |
좋은 콜레스테롤은 올리고, 나쁜 콜레스테롤은 낮춰주는 음식 (3) | 2022.02.04 |